Surprise Me!

[컬처인사이드] 매트리스 남은 천으로 조끼를?…'지구 구하기' 나선 패션업계 / YTN

2024-11-16 164 Dailymotion

환경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돼 온 패션계가 친환경 패션에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창고에 쌓인 재고를 해체하거나 매트리스나 에어백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생긴 폐자재들을 활용하는 건데요 <br /> <br />이왕 사는 옷, 탄소 배출 줄이는 기업의 제품을 사겠다는 '가치 소비'가 늘어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광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담요처럼 두를 수 있는 흰색의 방한 조끼. <br /> <br />침대 매트리스를 만드는 과정에서 나온 자투리 원단과 폐 어망을 재활용해 만든 건데 디자인으로도 전혀 밀리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그동안 환경 파괴의 주범으로 인식돼온 패션계가 친환경 패션에 주력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패션계 해묵은 고민인 재고를 해체해 전혀 다른 디자인의 상품을 내놓거나 <br /> <br />[최유나 /친환경 패션 브랜드 매니저 : 팔리지 않는 재고들을 활용하고요 그 밖에도 에어백, 밀리터리 소재, 카시트라든지 쓰이고 남은 인더스트리얼 소재들도 활용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버려진 페트병으로 원사를 만들고 염색을 최소화해 옷을 만드는 과정 내내 동물권을 고민하고 자연을 의식합니다. <br /> <br />[양윤아/ 비건 패션 디자이너 : 동물성 원부자재 대신 지속 가능한 소재를 대체해서 컬렉션을 전개하고 있고요. 인간이 자연에 조금만 도움을 주면 자연은 스스로 소생할 수 있는 힘을 갖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싫증 나거나 추억이 베어 있는 옷을 재활용해 있는 옷을 더 오래 입게 도와주고, 아예 원단을 만지고 박음질하는 작업에 참여하는 체험도 마련해 이른바 '그린 슈머'들을 공략합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패션계가 앞다퉈 '지속 가능한' 패션을 전파하는 이유는, 기후 위기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면서 친환경 기업을 선호하는 소비자가 늘어난 영향이 큽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소비자의 82%는 친환경 제품을 살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격이 더 비싸더라도 사겠다고 한 답변은 93%나 됐습니다. <br /> <br />[진홍규 / 서울 옥수동 : 친환경 소재에 대한 편견이 있었는데 완전 오늘 없어지고 소파로 만든 원단이라고 하더라고요. 폐소파로, 폐소파 딱 이미지가 떠오르니까 상상이 되니까...] <br /> <br />특히 미국이나 유럽 섬유 업계가 선도적으로 친환경 생태계 구축에 나서면서 국내 패션업계도 이른바 '착한 패션' 기조에 발을 맞추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엄윤상 / 콘텐츠 진흥원 본부장 : 3년 전부터 30개 브랜드 정도 지원을 하고 있거든요 친환경 코드는 이제 더 이상 남의 문제가 아닙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replay/view.php?idx=273&key=20241116092716948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